배경

ㅇ Newzoo 글로벌 게임시장 보고서((https://newzoo.com/insights/trend-reports/newzoo-global-games-market-report-2020-light-version/ 2020.08.25검색))에 따르면, ‘20년 1.593억 달러 수익 예상 되며 전년대비 9.3%p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, 우리나라의 게임산업 역시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

* ‘20년 COVID-19로 인해 제조업, 관광업 등은 직‧간접적인 피해를 입었지만, 비대면 업종인 게임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타격이 크지 않았으며, ‘20년 2분기 국내 주요 게임사들의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((http://gamefocus.co.kr/detail.php?number=108332 검색일: 2020.08.28))

ㅇ 미래 핵심 산업 중 하나로, 우리나라 게임 산업의 지속 성장과 글로벌 게임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역량 있는 인재 수급이 가능해야 함

– 게임은 지식정보 의존도가 높은 산업으로 좋은 인재가 핵심역량임

ㅇ 게임 산업 구조 변화에 따라 업계를 중심으로 게임의 다양한 전문 인재 양성 필요성 대두

– PC, 콘솔용 게임 타이틀 판매에서 모바일 게임 서비스 제공으로 중심 이동

ㅇ 현재 우리나라 게임 관련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, 향후 인재양성 방향성에 대해 논의 해보고자 함

게임산업 구조 변화

ㅇ 초창기 게임산업은 PC, 콘솔기반의 게임 타이틀 판매하는 구조였으나, 최근에는 온라인으로 게임을 출시하고 출시 후에도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관리가 필요한 산업구조로 전환

– 상품 판매 속성은 게임을 제작(CD형태 등) 후 퍼블리셔를 통해 소비자 판매로 종결, 서비스 제공 속성은 게임 출시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(업데이트 및 이벤트 등)

ㅇ 개인 및 인디 개발자들이 손쉽게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 조성

– 상용 게임개발 도구의 부분유료화 정책도입*, 에셋 마켓 등장 등으로 게임 개발에 필요한 전문 지식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사람도 게임 개발 참여 가능

* (유니티)‘15년 프로 버전의 엔진을 월 75달러를 지불 후 이용 가능 하게 함

** (언리얼)‘15년 3월 언리얼 엔진4 월 19달러, 정식 출시 게임에 대해 수익률 5% 요금 지불 방식

ㅇ 전세계적으로‘17년부터 모바일 게임의 시장 점유율이 PC게임을 앞서며, 모바일 서비스 게임의 양산이 가능한 환경에서, 역설적으로 경쟁력 있는 양질의 게임을 만들고 서비스하기 위한 고급 인재 필요성 증대

게임산업 인재 양성방향

ㅇ ‘19년 게임백서에서는 △개발 △디자인 △마케팅/판매 △서비스 △시스템 5가지 분야로 신규채용 시 애로 사항 조사((2019 대한민국게임백서 p.392, 문화체육관광부, 한국콘텐츠진흥원))

– 서비스 분야를 제외한 나머지 분야에서는 경력직 자질 부족, 저임금회피, 인력정보 부족, 초과근무 기피, 정규 졸업생 자질 부족, 학원 졸업생 자질 부족 등으로 나타남

– 저임금회피와 초과근무 기피를 제외한 다른 항목들은 자질 부족 및 인력정보 부족으로 정리할 수 있음

직군별 신규채용 시 애로 사항

(단위 : %)

구분개발디자인마케팅/판매서비스시스템
경력직 자질 부족30.629.128.021.822.9
저임금회피25.127.326.621.318.8
인력정보 부족19.219.321.220.117.0
초과근무 기피14.116.911.014.114.0
정규졸업생 자질 부족9.310.57.812.010.9
학원졸업생 자질 부족5.86.87.56.26.6
정규졸업생 부족5.45.54.26.24.9
학원졸업생 부족0.91.91.52.41.2
기타0.30.3 - - -
어려움 없음26.723.027.429.731.9

참고: 중복응답가능 출처: 2019게임백서 pp.386~391

ㅇ ‘20년 8월 경력 20년 이상의 업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, 단순 기술(개발도구 사용법)을 익히는 수준이 아닌 현장 위주의 실무능력 겸비 인재 및 게임 산업 규모 확대로 따른 파생 직군들에 대한 인력 부족을 확인

– 게임 산업이 지속적 서비스 제공 산업으로 변모 후 상품개발 인력뿐만 아니라 게임 출시 이후 서비스 제공을 위한 게임QA ‧ 마케팅 ‧ 게임 산업 및 게임 데이터 분석인력*, 타산업과 융합을 꾀할 수 있는 인재 필요

* 업데이트 및 이벤트 제공, 지속적인 서비스 및 수익창출을 위한 데이터 분석 등

ㅇ 게임개발은 특성*상 팀플레이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, 실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부분에 대한 고려 필요

* 개발부서는 팀 구조로 업무가 진행되며, 몇 년씩 장기간에 걸친 개발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하기 때문에 인력구성을 안정적이고 보수적으로 진행

ㅇ 업계에서도 기존 개발 인력 이외에 기존 범주에서는 ‘지원 업무’에 대한 인력 필요성을 토로하였고, 개발팀은 참여 인력의 역량과 자질을 사전 파악 후, 개발과정에 동참할 수 있기를 바라는 것으로 파악

게임관련 교육 현황

(교육기관 현황) 19년 기준 게임 교육기관은 전문대학(전문학원) 30개, 대학교 40개, 대학원 22개로 총 92개의 기관이 있음

(교육과정 고찰) 게임학과를 운영 중인 학교들의 교육과정은 게임기획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음

– 게임 QA 및 운영, 게임경영‧비즈니스‧마케팅 커리큘럼을 운영하는 학교는 극소수에 불과

– 게임 개발 이후 서비스 과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

– 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개발과정 및 실무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부족

– 게임 전문 채용사이트의 공고를 통해 살펴본 결과 현재의 교육과정은 게임제작(55.0%)에 대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, 다른 직종에 대한 교육 미비

ㅇ 게임 산업의 구조 변화에 맞는 교육과정이 부족 확인할 수 있음

ㅇ 게임개발 중심 학과에서 탈피하여 게임산업의 구조 변화 및 업계요구에 맟춤형 인재를 배출하기 위해 교육과정 변화 및 연계융합 과정 운영 고려 필요

시사점

ㅇ COVID-19로 인한 세계경기 침체 상황에서 게임산업은 9.3%의 성장이 예상되며, 비대면 산업의 대표 주자로 향후에도 지속 성장이 기대되고 있음

ㅇ 국내 게임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산업구조 맟춤형 인재 양성 필요

– 인력수급의 불안정은 산업의 성장과 균형 발전 저해

ㅇ 게임 산업의 구조 변화에 따른 세분화된 직무와 업무에 따른 다양한 인력수요 수급을 위한 인재양성 필요

– 게임개발에 치우쳐 있는 현재의 인력 양성 시스템에서, 상품 출시 이후 과정에 대한 인력 및 특정 분야의 전문성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이 가능한 인재 양성*

* 게임산업은 영화, 웹툰, 캐릭터 등 다양한 콘텐츠 분야로 확장 이외에 서버 안정화 기술, NPC로 대표되는 AI활용기술 등 다양한 분야와 협업 가능

– 게임개발학과에서 탈피하여 게임 서비스 과정 전반을 망라하는 게임학과로 확장 시도 또는 연계융합과정 운영 고려 필요

ㅇ 게임 업계 및 개발팀의 특성을 고려한 산-학 연계과정 필요

– 업계에서 요구하는 실무위주의 교육과정 편성

– 개발팀의 안정적이고 보수적인 인력운영의 특성을 반영하여 협업을 통해 함께 일하고자 하는 이들과의 접점을 넓혀 인력에 대한 지속적 정보 제공 필요

ㅇ 교육기관의 전공 선택기준과 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 간 불균형 발생

–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의 유연성을 확보하여, 산업변화에 맞춰 인재 양성

ㅇ 미래 먹거리인 게임산업의 지속 성장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산-학의 협업 필요